-기름과 물의 반발(배수성)

- 카운터 에치액

- 유성 부분 : 해먹, 리소크레용

- 수성 : 아라비아 고무액

- 판의 감응 처리 준비

- 탈크가루, 활석가루 (유성재료가 번지지 않도록)

- 보호잉크(징구다)

 

석판화란?

물과 기름의 반발력을 이용한 평판법에 의한 판화. 목판화처럼 부조의 형태로 모양을 조각하거나 선 인그레이빙에서처럼 선을 음각하는 것이 아니라, 석회석으로 된 평평한 판 표면에 그림을 직접 그린 후 찍어내는 방법이다. 본래는 두껍고 무거운 석판석을 사용했으나 오늘날에는 가볍고 일그러지지 않으며 취급하기 쉬운 아연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1798년 독일의 극작가 제네펠더Aloys Senefelder(1771~1834)가 발명한 것이 석판 인쇄법으로 발전했다. 석판 위에 유성 잉크나 크레용으로 도안을 그린 후, 특별한 화학용액을 발라 도안을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 전체에 물을 칠하면 물과 기름의 반발력으로 인해 물이 판에는 스며드나 도안에는 스며들지 않는다. 그 후 유성 잉크를 바른 롤러로 석판을 한 번 밀어주면 물이 묻은 판에는 잉크가 묻지 않고 크레용이나 유성 잉크로 그린 부분에만 잉크가 묻게 되어, 그 위에 종이를 얹고 힘을 가해 찍어내면 원래의 도안 그대로 좌우만 바뀐 채 찍혀나오게 되는 것이다.

석판의 장점은 제판사의 협력만 얻는다면 누구든지 제작할 수 있으며, 한 판에 여러 번 인쇄할 수 있어 인쇄매수가 많다는 것이다. 제네펠더는 재료에 직접 도안을 그리는 직접 제판법 외에 일단 다른 종이에다 도안을 그린 후 판재 위에 전사하는 전사 제판법도 고안해냈다. 그가 예견했듯 석판화는 매우 융통성 있는 매체여서 석판 대신 플라스틱, 아연, 알루미늄 판을 대신 사용할 수도 있고 펜이나 크레용 대신 붓을 사용해 판 위에 그림을 그릴 수도 있다. 그 밖에도 화가의 기발한 착상에 따라 여러 질감을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여러 장의 석판을 이용해 다색 인쇄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석판화는 펜이나 크레용으로 그린 단순한 선으로 된 형태에서부터 여러 질감과 투명한 효과를 내는 다색 인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석판화는 19세기에 들어와서 많은 화가들의 주목을 끌었다. 고야Francisco de Goya(1746~1828)는 노년에 특히 많은 석판화를 제작했고, 들라크루아Eugène Delacroix(1798~1863)는 석판화로 1828년 괴테Goethe(1749~1832)의 《파우스트Faust》 삽화를, 모네Claude Monet(1840~1926)는 1874년 포Edgar Allan Poe의 《갈가마귀》 삽화를 석판화로 그렸다. 19세기 말은 다색인쇄 석판화가 꽃 핀 시기이다.

일본 목판화인 우키요에()의 영향을 받은 툴루즈-로트렉Henri de Toulouse-Lautrec(1864~1901), 보나르Pierre Bonnard(1867~1947) 등이 이전까지의 서양의 석판화와는 다른 밝고 자극적인 문양의 다색 석판화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특히 툴루즈-로트렉은 석판화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인물로 꼽을 수 있으며, 포스터를 위시한 여러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대가이다. 20세기에 들어와 인쇄술의 진보와 함께 석판화는 다른 회화 기법에 필적할 수 있는 존재가 되어 많은 화가들에 의해 다양한 표현 기법이 연구, 시도되고 있다. 마티스Henri Matisse(1869~1954), 루오Georges Rouault(1871~1958), 보나르, 피카소Pablo Picasso(1881~1973) 등과 에콜 드 파리의 유명한 화가들은 대부분 석판화를 이용한 작품들을 다수 제작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석판화 [石版畵, lithography] (세계미술용어사전, 1999., 월간미술)

 

석판화의 원리는 매우 단순하다.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기름을 주원료로 한 크레용 등으로 판의 표면에 그림을 그리고 필요한 절차를 마친 후 판 위에 물을 적시면 그리지 않은 부분에만 물이 스민다. 이때 롤러에 잉크를 묻혀 판 위에서 굴리면 잉크 역시 기름이므로 그림이 그려진 부분에만 묻고 그 밖의 여백에는 잉크가 올라가지 못하게 된다. 그 위에 종이를 올려놓고 석판화 프레스로 찍으면 석판화가 된다. 석판화에서 쓰이는 판은 원래 돌로서 석회석을 쓰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분자가 곱고 일정하여 화학반응이 고르게 일어나는 것으로 보통 석회석보다 밀도가 크면서 기공()으로 가득 차 물이 쉽게 스미는 반면 표면에 물이 한동안 촉촉히 남는 것이 쓰인다.

석판화에 쓰이도록 한번 재단된 석회석은 금강사로 갈아가면서 거의 반영구적으로 반복하여 쓸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돌이 점차 구하기 힘들어지고 다루기가 거추장스러운 단점이 있어 요즈음은 금속판인 아연판이나 알루미늄판을 흔히 쓰고 있다. 석판화에서 쓰이는 금속판은 두꺼운 종이 정도의 두께로 가벼우며 운반이 편리하고 표면은 마판처리가 되어 석회석의 표면과 대동소이하다. 돌을 사용한 경우는 스톤(stone), 아연판이나 알루미늄판을 사용한 경우는 플레이트(plate)라고 하여 구분하고 있다. 재료는 기름기를 주성분으로 한 것은 다 쓸 수 있다. 전문가용으로 석판화연필과 크레용이 있고 물이나 테레핀에 녹여 붓으로 그릴 수 있는 해묵이 흔히 쓰인다. 크레용이나 해묵은 검정색이며 색상문제는 나중에 찍을 때 어떤 색의 잉크를 선택하느냐에 달려 있다.

판 위에서의 제작은 어떤 종류의 판화보다도 자유분방하다. 마치 종이 위에서 연필로 혹은 붓으로 그림을 그리듯이 손을 마음대로 움직이며 그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는 작업이 끝나면 화학처리를 한다. 주성분은 아라비아고무이며 과정은 복잡하나 기본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표면 위 그림을 그리는 부분에 솜이나 가제로 송진가루와 탈크가루를 고루 입힌다. ② 아라비아고무를 붓으로 엷게 입힌 후 말린다. ③ 테레핀으로 그림을 완전히 지우고 판 전체의 아라비아고무를 물로 완전히 씻어낸다. ④ 아스팔텀을 엷게 입혀 형태를 살린다. ⑤ 스펀지로 판 위에 물을 가볍게 적셔가며 롤러에 잉크를 묻혀 잉킹에 들어간다.

잉크는 인쇄용 잉크인 오프셋잉크를 쓰며, 잉킹에 들어갈 때 잉크는 찍어내고자 하는 색을 선택하면 된다. 잉킹과정에서 테레핀으로 지워버린 원래의 상()이 전혀 되살아나지 않을 경우는 아라비아고무에 산이 너무 많이 포함된 경우이고 반대로 쉽게 상이 나타나 원래 그렸을 때보다 진하게 잉크가 먹으면 아라비아고무에 인산을 섞어야 한다. 이 석판화 역시 다색으로 찍고자 할 때는 목판화나 동판화와 같이 색만큼의 판 준비와 한 장의 종이 위에 여러 판을 찍어올려야 하는 것은 같다. 잉킹이 끝나면 프레스로 찍어야 한다. 석판화에서 쓰이는 종이는 매끄러운 표면의 종이일수록 잘 찍히는데 다른 종류의 판화와는 달리 종이가 판보다 작아야 여백이 깨끗하게 나온다. 석판화에서 쓰이는 프레스는 실린더가 판 위에서 굴러가면서 찍히도록 된 동판화 프레스와는 달리 밑부분에 가죽이 부착된 넓적한 나무판의 모서리가 강하게 압축하면서 밀어 주어 찍히도록 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석판화 [lithograph, 石版畵] (두산백과)

 

'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형요소와 조형 원리  (0) 2020.01.23
판화  (0) 2020.01.23

+ Recent posts